산술-기하 평균(Arithmetic-geometric mean)
임의의 두 양의 실수 $x,\, y > 0$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x$와 $y$의 산술평균(arithmetic mean)과 기하평균(geometric mean)을 각각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이제 위 두가지 평균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두 수열 $\langle a_n \rangle$과 $\langle g_n \rangle$을 반복적으로 정의해 보자.
위와 같이 정의한 두 수열 $\langle a_n \rangle$과 $\langle g_n \rangle$은 수렴할까? 이 사실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일반성을 잃지 않고 $x \geq y > 0$이라 가정하자. 그러면 우선 산술기하평균 부등식에 의해서 임의의 $n \in \N$에 대하여 $a_n \geq g_n$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n \in \N$에 대하여 아래 부등식이 성립한다.
이제 수열 $\langle a_n \rangle$은 감소하고 $y$에 의해 아래로 유계이므로 수렴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수열 $\langle g_n \rangle$은 증가하고 $x$에 의해 위로 유계이므로 수렴함을 알 수 있다. 이제 임의의 자연수 $n \in \N$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따라서 두 수열 $\langle a_n \rangle$과 $\langle g_n \rangle$은 같은 값으로 수렴함을 알 수 있다.
위 관찰을 바탕으로 두 양의 실수 $x,\,y >0$의 산술-기하 평균(Arithmetic-geometric mean)을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산술-기하 평균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두 수열의 극한을 통해 정의한) 산술-기하 평균에 관한 내용은 라그랑주(Lagrange)의 논문에 최초로 기술되어 있고, 후에 이 평균에 대한 여러가지 성질들이 가우스(Gauss)에 의해 밝혀졌다고 한다.
- 두 양의 실수 $x \geq y > 0$의 산술-기하 평균은 언제나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사이의 값을 같는다. 즉, \[ x \geq A(x,\,y) \geq AG(x,\,y) \geq G(x,\,y) \geq y \] 가 성립한다. 또한 $x = y$인 경우를 제외하면, 위 부등식들의 등호가 성립하지 않는다.
- 산술-기하 평균은 음이 아닌 임의의 실수에 대하여 (차수가 1인) 동차성(homogeneity)을 갖는다. 즉, 임의의 $r \geq 0$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AG(rx,\, ry) = r AG(x,\,y) \]
- 가우스 상수(Gauss's constant)는 $1$과 $\sqrt{2}$의 산술-기하 평균의 역수로 정의한다. 즉, \[ G := \frac{1}{AG(1,\, \sqrt{2})} = 0.8346268 \cdots \] 가우스 상수 $G$는 베타함수(beta function), 감마함수(gamma function), 타원 적분(elliptic integral)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등장하는 수학 상수라고 한다.
- 산술-기하 평균을 정의한 방법과 유사하게 기하-조화 평균(geometric-harmonic mean) $GH(x,\,y)$를 정의할 수 있다. 이 평균값은 기하평균과 조화평균 사이의 값을 가지며 산술-기하 평균과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 HG(x,\,y) = \frac{1}{AG(\tfrac{1}{x},\, \tfrac{1}{y})} \] 물론 산술-조화 평균(arithmetic-harmonic mean)도 정의 가능하지만 이 값은 기하평균과 같다.
제1종 완전 타원 적분(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임의의 양의 실수 $x,\, y > 0$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적분을 정의하자.
위 적분에 대하여 다음의 사실들이 성립함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 $I(x,\,y) = I(y,\,x)$.
- $I(rx,\, ry) = \frac{1}{r} I(x,\,y)$. 특히, $I(x,\,y) = \frac{1}{x} I(1,\, \frac{y}{x})$.
- $I(x,\,x) = \frac{\pi}{2x}$.
- $x>y$라 가정하면, $\frac{\pi}{2x} \leq I(x,\,y) \leq \frac{\pi}{2y}$.
또한 이 적분 $I(x,\,y)$는 제1종 완전 타원 적분(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1종 완전 타원 적분이란 아래와 같은 형태의 적분을 말한다.
이제 주어진 $0 \leq k \leq 1$에 대하여 $k$의 켤레(conjugate) $k'$을 $k^2 + k'^2 = 1$을 만족하는 실수로 정의하자. 그러면 $I(x,\,y) = \frac{1}{x} K((\frac{y}{x})')$임을 간단히 보일 수 있다.
증명. $t = y \tan \theta$를 이용하여 치환적분을 하면 간단히 위 등식을 얻는다.
산술-기하 평균과 타원 적분 사이의 관계
산술-기하 평균은 다음과 같이 타원 적분을 이용한 적분 형태로 구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증명. 먼저 임의의 자연수 $n \in \N$에 대하여 $I(a_{n+1},\, g_{n+1}) = I(a_n,\, g_n)$이 성립함을 보일 것이다. 먼저 위의 정리 2에 의하여
이제 치환 $2t = s - \frac{a_ng_n}{s}$를 이용하여 치환적분을 해보자. 그러면 치환된 적분의 적분구간은 $(0,\, \infty)$이고 $2 \,dt = (1 + \frac{a_ng_n}{s^2}) \,ds$를 얻는다. 또한
또한
위 사실을 모두 종합하여 치환적분을 하면
따라서 $I(a_{n+1},\, g_{n+1}) = I(a_n,\, g_n)$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임의의 $n \in \N$에 대하여 $I(x,\,y) = I(a_n,\, g_n)$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위 식을 $AG(x,\,y)$에 관하여 정리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증명. 위 정리 3의 증명 과정에서 $I(x,\,y) = I(\frac{x+y}{2},\, \sqrt{xy})$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를 얻는다. 이제 위 등식을 정리 3의 등식에 대입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따라서 제1종 완전 타원 적분의 값을 산술-기하 평균의 값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이 때, 산술 기하 평균의 빠른 수렴 속도는 위 따름 정리 4를 이용하여 타원 적분을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하게 한다.
'Analysis > Calcu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비의 판정법(Raabe's test) (0) | 2017.09.15 |
---|---|
$\sin^2 x + \cos^2 x = 1$에 대한 몇 가지 증명 (0) | 2017.08.07 |
두 점을 연결하는 최단경로의 곡선 (1) | 2017.07.20 |
대학생들의 꿈의 정리 (4) | 2017.07.19 |
Problems and Solutions #026 (0) | 2017.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