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론에서 합동(modular)의 개념을 정의하고 나서 바로 배우는 세 가지의 정리가 있다. 이들은 각각 페르마의 소정리(Fermat's little theorem), 오일러의 정리(Euler's theorem), 그리고 윌슨의 정리(Wilson's theorem)를 말하는데, 이 정리를 기반으로 합동식에 대한 다양한 결론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 세 가지 정리의 증명은 합동식의 성질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도 있지만, 대수학에서의 군(group)의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단 몇 줄로도 증명이 가능하다. 이를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에 대하여, 와 가 모두 과 서로소(coprime)라 하자. 그러면 정수 가 존재하여
을 만족한다 따라서 위 두 식을 변변끼리 곱해 주면
따라서 또한 과 서로소가 된다. 이 사실로부터 과 서로소이고 보다 작은 양의 정수들의 집합은 곱셈에 의해 군(group)을 이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가 소수라면, 집합 은 곱셈에 의해 군을 이룬다.
가 소수이기 때문에, 의 배수가 아닌 모든 정수들은 와 서로소이다. 따라서 집합 은 곱셈에 대하여 군을 이룬다. 그러면 라그랑주 정리(Lagrange's theorem)에 의해서 의 모든 원소들의 차수(order)는 을 나눠야 한다. 따라서 의 배수가 아닌 모든 정수 에 대하여 임을 알 수 있다.
.
라 가정하자. 그러면 과 서로소인 모든 양의 정수들의 집합은 곱셈에 의해 군(group)을 이룬다. 이 군을 라고 하면 차수는 이다. 그러면 라그랑주 정리(Lagrange's theorem)에 의해서 의 모든 원소들의 차수(order)는 을 나눠야 한다. 따라서 과 서로소인 모든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임을 알 수 있다.
.
과 서로소인 모든 양의 정수들로 이루어진 군을 라 하자. 위에서 살펴 보았듯이 의 차수는 이다. 또한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 사상 는 의 자기동형사상(automorphism)이 된다. 따라서 의 모든 원소들의 곱은 의 모든 원소들의 곱과 같다. 즉,
이 성립한다. 이제 위 합동식의 양변에 의 역원을 곱해 주면, 임을 알 수 있다..
은 곱셈에 대하여 군을 이룬다. 따라서 이 집합의 모든 원소 는 역원 를 가진다. 따라서 집합 를 형태의 부분집합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이 부분집합의 모든 원소들의 곱은 이다. 또한 각각의 부분집합들은 가 아니라면, 정확히 두개의 원소를 가진다. 만약 인 경우, 여야 하고, 가 소수라는 사실로부터 라는 결론을 얻는다. 이제 은 과 , 그리고 형태의 부분집합들의 모든 원소들의 곱이고, 이는 과 같다. 그러므로 가 성립한다.
.
에 대하여 과 서로소이고 보다 작은 모든 양의 정수들의 곱은 법 에 대하여 또는 과 합동임을 보일 수 있다.
이 이거나 인 경우는 위 명제가 자명하게 성립하므로, 라 가정하자. 이제 과 서로소인 모든 양의 정수들로 이루어진 군을 라 하면 의 모든 원소 는 역원 를 가지므로 집합 를 형태의 부분집합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제 위의 논의와 같이 이 한원소집합(singleton set)인 경우만 따로 고려해 주면 충분하다. 만약 어떤 가 존재하여 이라 하자. 그러면 이 성립한다. 또한 와 는 서로 같은 원소일 수 없다. 만약 이라면, 가 되어 가 의 약수가 되어야 하는데, 을 가정했으므로 와 이 서로소라는 사실에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집합 의 모든 원소의 곱은 이다.
이제 군
'Algebra > Number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술 도함수(arithmetic derivative)에 대하여 - 1. 정의와 기본 성질 (0) | 2020.07.29 |
---|---|
르장드르의 정리(Legendre's theorem)와 쿠머의 정리(Kummer's theorem) (0) | 2018.08.16 |
택시캡수(taxicab number)와 캡택시수(cabtaxi number) (1) | 2018.08.03 |
짝수 완전수(perfect number)와 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 (0) | 2018.06.16 |
계승(factorial)의 다양한 확장 (0) | 201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