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질문에 관한 간단하지만 신기한 증명이 있어서 올려본다.
정리. 가 유리수가 되게 하는 두 양의 무리수 , 가 존재한다.
증명. 만약 가 유리수라면 간단히 로 정의하는 것으로 증명이 끝난다.
만약 이 무리수라면, , 로 정의하자. 그러면
따라서 증명이 끝난다.
(그 증명이 쉽지는 않지만 실제로 는 무리수이다.)
'Others > High School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수, 기하, 삼각법, 미적분학 공식 모음 (0) | 2016.08.17 |
---|---|
Problems and Solutions #008 (0) | 2016.08.16 |
Problems and Solutions #007 (0) | 2016.08.16 |
간단한 삼각함수 공식 하나 (0) | 2016.06.02 |
Kempner 급수(Kempner Series)에 대하여 (2) | 2016.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