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ring)에서 체(field)까지 - 6. 몫환(Quotient ring)과 동형정리(isomorphism theorem)들
몫환(Quotient ring)과 동형정리(isomorphism theorem)들
참고.
- 이 정의는 군 이론에서의 잉여류의 정의와 같다. 군 이론에서의 경우와 같이, 잉여류들은 환의 서로소인 부분집합을 이룬다.
- 원소
는 잉여류의 잉여류 대표원소(coset representative)라 한다. 각각의 잉여류들은 다양한 잉여류 대표원소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두 원소 와 는, 주어진 아이디얼 에 대하여 이면, 의 동일한 잉여류를 표현한다. - 아이디얼
자체도 하나의 잉여류이다: .
증명. 먼저 위 연산들이 잘 정의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즉,
참고.
몫환(quotient ring)의 영원(zero)은 원소
몫환
예제 6.3
라 하자. 그러면 몫환 는 개의 원소를 갖는다: . 또한 이는 와 동형이다. 를 에 의해 생성된 환 의 아이디얼이라 하자. 그러면 잉여류 대표원소는 모두 의 형태를 가졌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여류 대표원소로 를 가져오면,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가 해당 잉여류를 대표한다고 하면 되기 때문이다. 아이디얼의 원소를 영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라 하면, 을 이용하여 모든 고차항들을 상쇄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를 형태의 원소들에 규칙 을 이용하여 덧셈과 곱셈을 수행하는 환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제 부정원 를 로 바꾸어 생각하면 이 환은 복소수의 집합과 같음을 알 수 있다: .- 위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면, 우리가 이전에 구성했던 갈루아체
는 사실 몫환 와 동형임을 보일 수 있다. - 몫환
은 모든 잉여류 대표원소들이 에 대하여 의 형태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개의 원소를 갖는다. 하지만, 이는 체가 되지 않는데, 두 잉여류 와 의 곱이 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환은 영인자를 가지고 따라서 체가 될 수 없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항식 이 에서 더 작은 차수(degree)의 다항식들로 인수분해가 되기 때문이다: .
이전 절에서 환준동형사상
증명. 사상
참고.
- 따라서 몫환을 잉여류와 관련지어 덧셈과 곱셈을 수행하는게 아니라 단순히 준동형상(homomorphic image)으로 간주해서 생각할 수 있다.
- 위 정리에 의해 모든 아이디얼은 (
에서 로 가는) 적당한 준동형사상에 대한 핵임을 알 수 있다.
위 정리는 환에대한 제1동형정리로도 불린다. 이제 나머지 두 동형정리에 대해 알아보자.
증명.
참고.
- 사실
, 가 의 부분환들이고 이 둘중 하나만 아이디얼이어도 정리가 여전히 성립한다. - 아래에 이 정리를 그림으로 표현해 놓았다. 그림에서 두겹으로 그려진 선은 두 개의 몫환을 나타낸다.
예제.
증명. 우선
'Algebra > Abstract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1. 소개 2. 복소수와 복소수의 성질 (1) | 2016.06.28 |
---|---|
환(ring)에서 체(field)까지 - 7. 유한체(finite field) (2) | 2016.05.24 |
환(ring)에서 체(field)까지 - 5. 환준동형사상(ring homomorphism)과 환동형사상(ring isomorphism) (0) | 2016.05.18 |
환(ring)에서 체(field)까지 - 4. 나눗셈 정리(division algorithm)와 유클리드 호제법(Euclid algorithm) (0) | 2016.05.18 |
환(ring)에서 체(field)까지 - 3. 부분환(subring)과 아이디얼(ideal) (0) | 2016.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