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정리는 $n$개의 실근을 가지는 실계수 다항식 $p(x)$의 해의 위치를 근사할 수 있는 정리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3차 방정식을 생각해 보자.
증명. 주어진 다항식의 $n$개의 근을 각각 $y_1,\, y_2,\, \ldots,\, y_n$이라 하자. 그러면
\[ p(x) = (x-y_1)(x-y_2) \cdots (x-y_n) \]
와 같이 쓸 수 있다. 위 식을 전개하여 계수를 비교하면
\[ \begin{aligned} -a_{n-1} &= y_1 + y_2 + \cdots + y_n \\ a_{n-2} &= y_1(y_2 + \cdots + y_n) + \sum_{2 \leq i < j} y_iy_j. \end{aligned} \]
따라서 $y_1$에 대하여
\[ a_{n-1}^2 - 2a_{n-2} - y_1^2 = \sum_{i=2}^{n} y_i^2 \]
라는 값을 얻는다. 이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tz inequality)에 의하여
\[ \begin{aligned} (a_{n-1} + y_1)^2 &= (y_2 + y_2 + \cdots + y_n)^2 \\ &\leq (n-1) (y_2^2 + y_3^2 + \cdots + y_n^2) \\ &= (n-1)( a_{n-1}^2 - 2a_{n-2} - y_1^2) \end{aligned} \]
가 됨을 알 수 있다. 위 부등식을 정리하면
\[ y_1^2 + \frac{2a_{n-1}}{n}y_1 - \frac{n-2}{n}a_{n-1}^2 + \frac{2(n-1)}{n}a_{n-2} \leq 0 \]
를 얻고 따라서 근 $y_1$이 (같은 방법으로 모든 $y_i$가) 위 이차방정식의 두 근 사이에 놓여야만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증명이 완료된다.
'Analysis > Real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blems and Solutions #019 (0) | 2017.02.17 |
---|---|
극값 정리(Extreme Value Theorem)의 한 응용 (0) | 2016.09.02 |
매끄럽지만 해석적이지 않은 함수 (2) | 2015.10.21 |
여러가지 공간(Space) 사이의 포함관계 (0) | 2014.07.20 |
여러가지 공간(Space)에 대한 정의 (2) | 201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