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술-기하 평균(Arithmetic-geometric mean)
임의의 두 양의 실수
이제 위 두가지 평균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두 수열
위와 같이 정의한 두 수열
우선 일반성을 잃지 않고
이제 수열
가 성립한다. 따라서 두 수열
위 관찰을 바탕으로 두 양의 실수
산술-기하 평균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두 수열의 극한을 통해 정의한) 산술-기하 평균에 관한 내용은 라그랑주(Lagrange)의 논문에 최초로 기술되어 있고, 후에 이 평균에 대한 여러가지 성질들이 가우스(Gauss)에 의해 밝혀졌다고 한다.
- 두 양의 실수
의 산술-기하 평균은 언제나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사이의 값을 같는다. 즉, 가 성립한다. 또한 인 경우를 제외하면, 위 부등식들의 등호가 성립하지 않는다. - 산술-기하 평균은 음이 아닌 임의의 실수에 대하여 (차수가 1인) 동차성(homogeneity)을 갖는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가우스 상수(Gauss's constant)는
과 의 산술-기하 평균의 역수로 정의한다. 즉, 가우스 상수 는 베타함수(beta function), 감마함수(gamma function), 타원 적분(elliptic integral)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등장하는 수학 상수라고 한다. - 산술-기하 평균을 정의한 방법과 유사하게 기하-조화 평균(geometric-harmonic mean)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평균값은 기하평균과 조화평균 사이의 값을 가지며 산술-기하 평균과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물론 산술-조화 평균(arithmetic-harmonic mean)도 정의 가능하지만 이 값은 기하평균과 같다.
제1종 완전 타원 적분(complete elliptic integral of the first kind)
임의의 양의 실수
위 적분에 대하여 다음의 사실들이 성립함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 . 특히, . . 라 가정하면, .
또한 이 적분
이제 주어진
증명.
산술-기하 평균과 타원 적분 사이의 관계
산술-기하 평균은 다음과 같이 타원 적분을 이용한 적분 형태로 구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증명. 먼저 임의의 자연수
이제 치환
또한
위 사실을 모두 종합하여 치환적분을 하면
따라서
위 식을
증명. 위 정리 3의 증명 과정에서
를 얻는다. 이제 위 등식을 정리 3의 등식에 대입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따라서 제1종 완전 타원 적분의 값을 산술-기하 평균의 값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이 때, 산술 기하 평균의 빠른 수렴 속도는 위 따름 정리 4를 이용하여 타원 적분을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하게 한다.
'Analysis > Calcu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비의 판정법(Raabe's test) (0) | 2017.09.15 |
---|---|
2017.08.07 | |
두 점을 연결하는 최단경로의 곡선 (1) | 2017.07.20 |
대학생들의 꿈의 정리 (4) | 2017.07.19 |
Problems and Solutions #026 (0) | 2017.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