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수(Quaternion)의 곱셈
이제까지 사원수의(quaternion)의 곱셈이 아래의 식
으로 정의된 이유와 그 과정에 대해 살펴 보았다. 하지만 이유와 과정을 알고 이해했다고 하더라도 위의 곱셈을 실제로 외워서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번에는 두 사원수를 곱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도록 하자.
1. 해밀턴의 연산규칙을 이용한 방법
첫번째 방법은 주어진 사원수
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때 위 규칙으로부터 더 세분화된 규칙인
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제] 두 사원수
2. 벡터의 내적과 외적을 이용한 방법
주어진 사원수
[예제] 두 사원수
3.
다음으로는 행렬 표현을 이용한 두 사원수의 곱셈에 대하여 알아보자. 임의의 복소수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듯이 임의의 사원수
이제 두 사원수의 곱은 각각의 사원수를 복소행렬로 변환한 후에 복소행렬의 곱을 계산한 후, 곱의 결과로써 나온 복소행렬을 다시 사원수로 변환하여 구할 수 있다.
[예제] 두 사원수
실제로
4.
임의의 사원수
언뜻 보면 주어진 사원수를 괜히 더 복잡하게 표현한 것 같지만
로 정의하면, 사원수
[예제] 두 사원수
실제로는
5. 케일리-딕슨 구성을 이용한 방법
또한 앞에서 살펴본 케일리-딕슨 구성(Cayley-Dickson construction)을 이용하여 사원수의 곱을 계산할 수도 있다. 사원수의 대수체계는 복소수의 대수체계를 케일리-딕슨 구성을 이용하여 확장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사실을 이용하여 주어진
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제] 두 사원수
'Algebra > Abstract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서체(ordered field)에 대하여 (0) | 2017.09.19 |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6. 사원수와 회전변환 (작성중) (2) | 2016.07.15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4. 사중쌍(quadruple)과 사원수(Quaternion) (0) | 2016.06.30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3. 삼중쌍(triple)의 실패 (0) | 2016.06.29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1. 소개 2. 복소수와 복소수의 성질 (1) | 2016.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