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1]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 , 또는 중 오직 한가지 경우만을 만족한다. 즉, 를 집합 , , 의 분리합집합(disjoint union)으로 나타낼 수 있다. - [O2] 만약
이면, 이고 이다.
체
예를 들어
임의의 순서체
이고 이므로, 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아닌 제곱 원소(square element)들은 언제나 에 속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이거나 여야만 하는데, 어느 경우든지 라는 사실로 부터 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포함관계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제 1을 참고하자.] - 유한순서체(finite ordered field)는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표수(characteristic)가
인 유한순서체 가 존재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라는 사실로부터 가 되어 의 정의에 모순이다.
그렇다면 어떤 체
예제 1.
이지만, 를 만족하는 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순서체 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는 성립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순서체
는 체 위에서 정의되는 유일한 순서체이다: 만약 가 순서체라고 해보자. 먼저 이므로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임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모든 제곱 원소는 에 속하므로) 이다. 따라서 임의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를 얻는다. 그러므로 임의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이고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가 존재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이므로 이다. 하지만 이 경우 가 되어 모순이 생긴다. 따라서 여야만 함을 알 수 있다.
예제 2.
따라서 예제 2에 대하여, 순서체가 될 수 없는 무한체
예제 3.
그러면
는
자명하게
이제
따라서
사실 체
'Algebra > Abstract Algeb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리수를 보존하는 이항연산(binary operation) (0) | 2020.04.16 |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6. 사원수와 회전변환 (작성중) (2) | 2016.07.15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5. 사원수의 곱셈 (1) | 2016.07.15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4. 사중쌍(quadruple)과 사원수(Quaternion) (0) | 2016.06.30 |
사원수(Quaternion)에 대하여 - 3. 삼중쌍(triple)의 실패 (0) | 201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