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함수와 원시함수가 같은 함수
지수함수
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이에 대한 해답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주어진 함수
를 만족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미분방정식
의 형태로 주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 함수를 미분하면 구하고자 하는 함수
를 얻는다.
식
가 되어
도함수와 원시함수의 부호가 반대인 함수
이번에는 도함수와 원시함수의 부호가 반대인 함수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대표적인 예로
우선 주어진 함수를
를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미분방정식
를 얻는다. 즉, 위에서 살펴보았던 두 삼각함수
도함수와 원시함수의 평균이 원래 함수가 같은 함수
마지막으로 좀 더 특이한 성질을 가지는 함수를 살펴보자. 이번에는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와 원시함수를 각각 구하여 두 함수의 평균을 구한다. 이 때, 이 평균이 원래의 함수와 같아지게 되는 함수는 어떤 것이 있을까? 예를 들어 함수
이제 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미분방정식을 세워서 구해 보도록 하자. 마찬가지로
를 만족해야 한다. 위 식을 정리하면 미분방정식
의 형태로 주어진다. 따라서 위 식을 미분하여,
를 얻는다. 따라서
임을 확인할 수 있다.
'Applied Mathematics > Differential Equ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정의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0) | 2016.08.07 |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6. 합성곱(Convolution) (1)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5. 디랙 델타 함수(Dirac Delta Function) (7)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4. 단위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 (0)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3. 미분방적식 (0) | 201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