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정의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몇 가지를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위의 네가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정의한 지수함수가 사실 모두 하나의 함수를 표현하고 있음을 증명할 것이다. 증명은 여려가지 방법이 있지만 여기서는 미분방정식의 해의 유일성을 이용하여 증명을 하고자 한다. 즉, 정의 (1), (2), (3)에 의해 정의된 함수를 각각
증명. 먼저
또한 초기조건
이제
초기조건
마지막으로
가 성립한다. 이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에 의하여
따라서
결과적으로 함수
위 정의에 대한 따름정리로써 오일러 상수(Euler constant)
※ 오일러 상수에 관한 추가적인 사실들은 http://jjycjnmath.tistory.com/19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Applied Mathematics > Differential Equ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함수와 원시함수가 같은 함수 (0) | 2018.02.27 |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6. 합성곱(Convolution) (1)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5. 디랙 델타 함수(Dirac Delta Function) (7)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4. 단위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 (0)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3. 미분방적식 (0) | 201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