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1. 정의와 예제
라플라스 변환(Laplace)은 적분 변환(Integral transform)의 일종으로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Pierre-Simon Laplace)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면, 미분 방정식을 계수방정식으로 변환하여, 문제들을 쉽게 해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초기값 문제의 경우 일차적으로 일반해를 구하는 단계가 필요없게 되고, 비제차 미분방정식의 경우에는 대응하는 제차미분방정식을 먼저 풀 필요가 없다.
[정의 1] 주어진 함수
이 때,
[예제 1]
[예제 2]
라플라스 변환은 적분을 통해 정의되므로, 간단히 아래 정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정리 2] 라플라스 변환은 선형적(linear)이다. 즉, 임의의 실수
[증명] 라플라스 변환의 정의과 적분의 선형성에 의해,
임을 간단히 보일 수 있다. ■
[예제 4] 복소수를 이용하면,
따라서 실수부와 허수부를 각각 비교하면,
[예제 5] 임의의 정수
[예제 6] 양의 실수
따라서, 감마 함수를 이용하여
'Applied Mathematics > Differential Equ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6. 합성곱(Convolution) (1) | 2015.05.24 |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5. 디랙 델타 함수(Dirac Delta Function) (7)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4. 단위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 (0) | 2015.05.24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3. 미분방적식 (0) | 2015.05.23 |
라플라스 변환(Laplace Transform) - 2. 기본 성질 (2) | 201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