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의 역수의 합이 무한대임을 보이는 방법을 응용하면, 짝수의 역수의 합 또는 홀수의 역수의 합 또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는 사실을 쉽게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자연수의 제곱의 역수의 합은 수렴하며 그 값이 $\frac{\pi^2}{6}$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번에는 소수의 역수의 합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이 값은 수렴할까? 또는 발산하게 될까?
소수의 역수의 합과 소수의 무한성
증명. 먼저 모든 소수의 집합을 $\Prime$로 나타내기로 하자. 그러면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값은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제 $p \geq 2$이므로, 기하급수(geometric series)의 합 공식과 산술의 기본법칙(fundamental theorem of arithmetic)에 의해
를 얻는다. 따라서 위 부등식 $(\ast)$의 양변에 역수를 취하고
자연로그를 씌워주면
를 얻을 수 있다. 이제 함수 $f(x) = \ln(1-x) + 2x$의 그래프를 생각해 보자. 그러면 구간 $(0,\, \frac{1}{2}]$에서 $f(x) > 0$임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 관찰과 부등식 $(\ast\ast)$에 의하여
를 얻는다. 이제 양변을 $-2$로 나누어 주고, $n \to \infty$의 극한을 취해주면
따라서 소수의 역수의 합은 발산한다.
소수의 역수의 합이 발산한다는 사실로부터 소수의 개수가 무한함을 간단히 보일 수 있다.
증명. 소수의 역수의 합이 발산하므로 급수와 극한의 관계에 의해
이어야만 한다. 하지만 소수의 개수가 유한하다면 충분히 큰 양의 정수 $M$에 대하여 모든 $p \in \Prime$에 대하여 $p \leq M$이라고 할 수 있고 따라서 모든 $p \in \Prime$에 대하여 $\tfrac{1}{p} \geq \frac{1}{M}$을 얻는다. 하지만 이는 $\frac{1}{p}$의 극한이 $0$이라는 사실과 모순이므로 소수의 개수는 무한하다.
'Others > High School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많은 특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 (0) | 2017.10.02 |
---|---|
Problems and Solutions #035 (0) | 2017.08.16 |
Problems and Solutions #028 (0) | 2017.06.06 |
교란순열(derangement)에 대하여 (3) | 2017.06.03 |
자연로그를 거듭제곱근을 포함한 식의 극한을 이용한 표현 (0) | 2017.05.05 |